치매는 누구에게나 다가올 수 있는 중요한 건강 문제입니다. 조기 대응과 체계적인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죠. 이를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전국에 치매 예방부터 돌봄, 가족 지원까지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치매안심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1. 치매안심센터란 무엇인가
치매안심센터는 보건복지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여 설치한 치매 예방·관리·돌봄의 통합 거점 기관입니다. 전국 모든 시·군·구 보건소에 설치되어 있으며, 치매 환자와 가족뿐만 아니라 60세 이상 어르신 누구나 조기검진과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요 목적 |
- 치매 조기 발견 및 예방
- 환자와 가족의 부담 경감
- 지역사회 돌봄 체계 구축
- 치매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특히 2020년 이후부터는 주소지 제한 없이 전국 모든 치매안심센터 이용이 가능해져, 타 지역에 거주하거나 장기간 머무는 경우에도 가까운 센터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전국 치매안심센터 운영 현황
2025년 기준 전국 256개소 이상이 운영되고 있으며, 각 시·군·구마다 1곳 이상 설치되어 있습니다. 센터는 규모와 시설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상담실, 검진실, 인지건강 프로그램실, 가족카페, 쉼터, 다목적실을 갖추고 있습니다.
운영 인력은 전문 간호사,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 임상심리사 등으로 구성되며, 필요 시 병원·복지기관과 연계해 종합적인 지원이 가능합니다.
3. 주요 서비스 내용
3-1. 치매 조기검진 및 등록관리 |
- 인지선별검사(KDSQ-C 등)를 통해 치매 위험 여부를 조기 파악
- 검사 결과에 따라 신경과 전문의 진료 연계
- 확진 시 치매 환자 등록관리 및 맞춤형 사례관리 제공
3-2. 쉼터 및 인지 재활 프로그램 |
- 초기·중기 치매 환자 대상 소규모 인지 강화 활동
- 작업치료, 음악·미술·원예 활동 등 다양
- 보호자가 일정 시간 돌봄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주간 프로그램 운영
3-3. 가족 지원 서비스 |
- 치매 가족 자조모임, 상담, 심리치료 지원
- 치매환자 가족휴가제를 통한 단기 보호 서비스
- 간호·돌봄 기술 교육 및 조호물품(기저귀, 방수시트 등) 지원
3-4. 예방 교육 및 홍보 |
- 60세 이상 어르신 대상 인지건강 교실 운영
- 치매 인식개선 캠페인, 치매극복의 날 행사 등
- 지역 사회 대상 치매예방 교육 자료 배포
4. 지역별 치매안심센터 예시
4-1. 서울 중구 치매안심센터 |
- 주소: 서울 중구 퇴계로 460, 11층 (유락종합사회복지관)
- 전화: 02-2238-3400
- 특징: 도심형 센터로 접근성 우수, 직장인 대상 저녁 프로그램 운영
- 서비스: 예방 교육, 전문 상담, 병원 연계, 가족카페 운영
4-2. 부산 동구 치매안심센터 |
- 주소: 부산 동구 구청로 14 (동구보건소)
- 전화: 051-440-6443
- 특징: 옥상정원, 프로그램실, 다목적홀 등 쾌적한 환경
- 서비스: 조기검진, 쉼터, 인지재활, 가족 지원 프로그램
4-3. 강릉시 치매안심센터 |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남부로17번길 38 (강릉시보건소)
- 전화: 033-660-3049
- 특징: 바다 인근 지역 특성에 맞춘 야외 걷기 프로그램 운영
- 서비스: 인지건강 검진, 사례관리, 맞춤형 재활 프로그램
4-4. 인천 연수구 치매안심센터 |
- 주소: 예술로 20번길 15(본센터) 및 2개 권역 센터 운영
- 전화: 1899-9080 (본센터)
- 특징: 권역별 센터 분산 운영으로 접근성 강화
- 서비스: 치매예방교실, 맞춤형 상담, 주간 쉼터
5. 이용 방법
- 방문 전 문의: 해당 센터 전화 문의 후 방문 예약
- 신분증 지참: 검사 및 등록 시 필요
- 무료 이용 가능: 대부분 서비스는 무료 제공
- 검진 절차:
- 1단계: 인지선별검사
- 2단계: 신경심리검사
- 3단계: 전문의 진료 연계
6. 이용 시 유의사항
- 일부 프로그램은 지역 주민 우선 운영, 대기자 발생 가능
- 쉼터 이용은 주 2~3회, 3개월 이상 장기 등록 필요
- 치매 가족 지원 프로그램은 사전 신청 필수
7. 전국 센터 검색 방법
- 치매안심센터 홈페이지(안심센터 찾기): ansim.nid.or.kr
- 보건소 홈페이지: 각 시·군·구 보건소 메뉴에서 확인
- 전화 문의: 1899-9988(치매상담콜센터)
8. 전국 주요 시·도별 치매안심센터 주소 & 전화번호
시·도 | 센터명 (대표) | 주소 | 전화번호 |
서울특별시 | 서울시 광역치매센터 | 서울 종로구 대학로 47 이화에수풀 2층 | 02‑3431‑7200 |
부산광역시 | 부산 동구 치매안심센터 | 부산 동구 구청로 14 | 051-440-6443 |
인천광역시 | 인천 연수구 치매안심센터 | (연수구 포함 10개 군·구 센터 운영) | (개별 문의 필요) |
전라북도 | 전주시 치매안심센터 | (전북광역치매센터 포함 시·군 센터 목록 제공) | 063-281-6291 |
경기도 | 안양시 만안구 치매안심센터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문예로 48 (6층) | 031-8045-3038 |
대전광역시 | 대전 중구 치매안심센터 | 대전 중구 중앙로 100 | 042-288-8180 |
강원도 | 양양군 치매안심센터 | 강원 양양군 양양읍 양양로 9-5 | 033-670-2496 |
전라남도 | 장흥군 치매안심센터 | 전남 장흥군 장흥읍 동교1길 13 | 061-860-6498 |
경상남도 | 김해시 주촌면 치매안심센터 | 경남 김해시 주촌면 주선로 29-1 | 055-320-5971 |
전라북도 | 김제시 치매안심센터 | 전북 김제시 동서8길 52 | 063-547-4000 |
참고: 각 시·도에는 광역센터 외에도 다수의 시·군·구 단위 센터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위 표는 대표 센터 중 일부이며, 보다 상세한 정보는 해당 지역 보건소 또는 중앙치매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전국 각지에 걸쳐 운영 중인 치매안심센터는 지역주민 누구라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중요한 공공 돌봄 인프라입니다. 조기검진부터 사례관리, 인지재활, 쉼터 제공, 가족지원까지 통합서비스를 제공해 치매 부담을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지역별 대표 센터 정보 외에도, 가까운 센터 검색은 중앙치매센터 ‘우리지역 치매안심센터 찾기’ 기능 활용 또는 공공데이터포털, 보건소 홈페이지 활용이 추천됩니다.